CS/Computer Network 5

[매일매일 CS] HTTPS에 대해

HTTP와 HTTPS의 차이점은 뭔가요? 라고 물으면 대부분은"HTTP에 암호화를 추가한게 HTTPS 입니다" 정도로 대답합니다. 이에 대해서 오늘 HTTP와 HTTPS의 차이에 대해서자세히 분석해보고, 차이를 확실히 알아가려 합니다.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는 웹에서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통신을 위한 통신 규약입니다. 하지만1. HTTP는 암호화 되지 않는 평문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제 3자가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는 위험이 있습니다.2. HTTP는 중간에 메세지가 변경되도 알 수가 없가 없으며,3. HTTP는 올바른 상대와 통신하고 있는지 알 수 없습니다. 즉 데이터의 기밀성, 데이터 완정성, 통신 상대 인증에서 보안적으로 취약한 문제가 발생할 수 ..

CS/Computer Network 2025.09.16

[매일매일 CS] WAS와 웹 서버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웹 서버는 정적 컨텐츠 (HTML,CSS,JS,이미지)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동적 컨텐츠 요청 시 요청을 WAS로 전달할 수도 있습니다. 대표적인 웹 서버로는 Apache, NginX 등이 있습니다. 반면, 자바 진영에서 WAS(Web Application Server)는 서블릿 컨테이너 기능을 제공하고,동적 컨텐츠를 생성하거나, 애플리케이션 로직을 실행하는 데 특화되어 있습니다. 대표적인 WAS로는 Tomcat이 있습니다. 즉 웹 서버는 정적 컨텐츠 제공에 특화되어 있으며, WAS는 동적인 컨텐츠 생성과 데이터 처리에 특화되어 있습니다. 그럼 WAS도 정적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데 웹 서버가 따로 필요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 🤔 WAS가 너무 많은 역할을 담당하면 과부하될 수 있습니..

CS/Computer Network 2025.09.15

Nework Application Layer

Cookie HTTP 프로토콜은 stateless (상태 비저장) 이며, 서버는 클라이언트가 이전에 누구였는지 기억하지 못한다. 그래서 쿠키(cookie) 를 사용해서 사용자 상태를 식별하고, 세션을 유지한다. 쿠키는 서버가 생성하여 클라이언(브라우저)에 저장하는 작은 데이터 조각. Cookie 동작 과정 1. 클라이언트 → 서버 요청사용자가 브라우저로 amazon.com 접속 (HTTP request 보냄)2. 서버 → 클라이언트 응답 (쿠키 발급)서버가 유저를 구분하기 위해 ID를 생성 (예: 1678).HTTP response header에 Set-Cookie: 1678 을 넣어 전달.브라우저는 이 값을 로컬에 저장.3. 이후 요청 시 쿠키 전송클라이언트가 다시 Amazon 서버에 요청할 때,..

CS/Computer Network 2025.08.27

Network 기본

컴퓨터 네트워크는 3부분의 기본 프레임워크로 나뉘어서 설명할 수 있다. 1. Network Edge 구성 요소: Application, Hosts (즉, PC, 스마트폰, 서버 등)역할: 네트워크의 "끝단"에서 실제로 데이터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주체client→ user (웹브라우저, 앱)server → 웹서버, 게임 서버, 스트리밍 서버 등즉, 네트워크 엣지는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당사자들"이 위치한 부분 2. Network Core 구성 요소: Routers 역할: 네트워크 엣지에서 온 데이터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목적지로 전달패킷 스위칭(packet switching) 기반경로 선택(routing) 알고리즘 사용네트워크 자체는 데이터를 이해하지 않으며, 단지 최적 경로로 전달하는 역할 (고속도..

CS/Computer Network 2025.08.27

Application Layer

OSI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네트워크 통신을 계층화해서 각 단계별로 역할을 나눠놓은 표준 모델 🔹 1계층 – 물리 계층 (Physical Layer) 0과 1의 비트 스트림을 전기적/광학적으로 전송케이블, 허브 등 물리적 장비장비: 허브, 리피터, 전선, 광케이블 🔹 2계층 – 데이터 링크 계층 (Data Link Layer) MAC 주소(랜카드에 박혀있는 주소) 기반으로 프레임 단위 전송같은 네트워크 내 장비들 간 통신오류 감지, 흐름 제어장비: 스위치, 브리지 🔹 3계층 – 네트워크 계층 (Network Layer) IP 주소 기반으로 라우팅목적지까지의 경로 설정패킷 단위 전송프로토콜: IP, ICMP, IGMP장비: 라우터 🔹 4계층 – 전송 계층 (..

CS/Computer Network 2025.08.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