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원래 Python을 주언어로 써왔고, 지금도 Python이 훨씬 편하다.
근데 왜 Java를 다시 배우는 걸까? 왜 이렇게 많은 기업들이 Java를 쓸까?
Java가 어떤 언어인지, Python과 비교했을 때 어떤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현재 Java의 현황까지 한 번 정리해보려고 한다.
Java란? ☕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언어 (OOP)
플랫폼 독립적: "Write Once, Run Anywhere" (JVM 덕분에 어디서든 실행 가능)
정적 타입(static typing): 변수 선언 시 타입 명시해야 함
클래스 기반 구조: 모든 것이 클래스 안에서 이루어짐
GC(가비지 컬렉션) 자동 메모리 관리
사용되는 분야 ?
- 대규모 기업용 시스템 (SI, ERP, 은행, 보험 등)
- 안드로이드 앱 개발
- 서버 백엔드 (Spring framework)
- 임베디드 시스템, IoT 일부
Python과 비교해보면?
항목 | Java | Python |
개발 스타일 | 엄격하고 정형화된 문법 | 유연하고 간결한 문법 |
타입 시스템 | 정적 타입 (타입 명시) | 동적 타입 (실행 시 타입 결정) |
실행 환경 | JVM 기반 (바이트코드 실행) | 인터프리터 기반 (즉시 실행) |
속도 | 빠름 (컴파일된 바이트코드) | 상대적으로 느림 |
코드 길이 | 길고 명확함 | 짧고 직관적 |
생태계 | 엔터프라이즈, 안드로이드 | 데이터 분석, AI, 자동화 등 |
러닝커브 | 높음 (초보자에겐 진입장벽 존재) | 낮음 (비전공자도 시작 쉬움) |
즉, Python은 빠른 개발과 실험에 적합하고,
Java는 견고하고 대규모 시스템에 적합한 언어라고 보면 된다.
2025 기준 프로그래밍 언어 인기 순위
순위 | 언어 | 특징 |
1위 | Python | AI, 데이터 분석, 교육용 등 인기 폭발 |
2위 | C | 임베디드, 시스템 프로그래밍 등 |
3위 | Java | 백엔드, 기업용 시스템, 안드로이드 |
→ 예전처럼 1위는 아니지만 여전히 상위권 유지 중
→ 대기업 채용이나 공공 프로젝트, SI 분야에서는 여전히 최강자
🔹 국내 시장 기준
- 금융, 보험, 공공기관은 대부분 Java 기반
- Spring Framework가 표준처럼 자리잡고 있음
- SSAFY, 부트캠프 등 대부분 Java 중심으로 교육
즉 자바는 여전히 강하다...
Python 개발자였던 내가 느끼는 Java는 뭐 이렇게 써야 될 게 많아..? 정도다.
근데 배워갈수록 왜 기업들이 Java를 선호하는지 느껴지고 있다.
조금 번거롭고 복잡하긴 해도, 유지보수성과 안정성,
객체지향 중심의 구조 설계, 정확한 타입 기반 개발은 분명한 장점이다.
Java의 컴파일 과정
1단계: .java 파일 작성
우리가 흔히 쓰는 Java 소스코드 파일 가령 Main.java를 작성
2단계: javac로 컴파일 → .class 바이트코드 생성
- javac는 Java 컴파일러다.
- .java 파일을 **바이트코드(Bytecode)**로 변환해서 .class 파일을 생성
- 이 바이트코드는 사람이나 운영체제가 바로 이해할 수는 없지만, JVM이 이해할 수 있는 코드
- Main.class 생성됨
- 이 안에 JVM이 실행할 수 있는 바이트코드가 들어있음
3단계: JVM(Java Virtual Machine)에서 실행
- 이제 java 명령어로 .class 파일을 실행시킴
- JVM은 플랫폼마다 다르지만, .class 바이트코드는 동일
- JVM은 바이트코드를 한 줄 한 줄 해석하면서 실행함 (인터프리팅)
- 요즘 JVM은 JIT(Just-In-Time Compiler)를 통해 자주 실행되는 부분은 실시간으로 머신 코드로 변환해서 실행속도도 빠름
Python과의 차이점은?
항목 | Java | Python |
실행 방식 | 컴파일 → 바이트코드 → JVM 해석 | 인터프리팅 (바로 실행) |
속도 | 상대적으로 빠름 (JIT 포함) | 느림 (하지만 편함) |
플랫폼 독립성 | JVM만 있다면 어디서든 실행 가능 | Python 인터프리터만 있으면 실행 |
실행 단위 | .class (바이트코드) | .py (소스코드 자체) |